본문 바로가기
수출컨설팅/무역실무, 무역서식

유럽자유무역연합회원국과의 협정에따른 원산지신고 문구

by ESGEXPORT 2011. 5. 21.
The exporter of the products covered by this document (customs authorization No.........) declares that, except where otherwise clearly indicated, these products are of ............... preferential origin.

이 신고서류(세관인증번호......)에 기재된 제품의 수출자는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제품이.................국가의 특혜원산지물품임을 신고합니다.



                                                                                     ---------------------------------------------------
                                                                                     (Place and date) 장소 및 신고일자


                                                                                    ---------------------------------------------------
                                                                                   (Signature of the exporter) 수출자의 성명 및 서명


                                                                                    ---------------------------------------------------
                                                                                     (Remarks) 특기사항

★ 작성요령

  1. 신고문안은 영문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각 주 및 한글번역문은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신고문안에 포함될 필요 없다.
  2. 인증수출자가 작성하는 경우, 세관인증번호는 해달 물품에 대하여 수출국의 관세당국에서 부여하는 인증수출자 번호 또는 이에 갈음하는 번호를 적습니다. 인증수출자가 아닌 경우는 적지 아니합니다.
  3. 해당 물품의 원산지국가는 해당 국가의 국명 도는 다음과 같이 ISO 알파벳 2단위 부호를 기재합니다. (대한민국: KR, 아이슬란드: IS, 노르웨이: NO,  스위스(리히텐슈타인 포함): CH )
  4. 원산지 신고서를 작성한 장소 및 신고일자를 적습니다. 다만, 장소 및 신고일자가 송품장 등 원산지 신고문안이 기재되는 서류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5. 수출자이 성명을 정확하게 기재하고, 서명을 하여야 합니다. 인증수출자의 경우에는 성명 및 서명을 따로 적지 않아도 됩니다.
  6. 역외가공된 물품(개성공업지구에서 생산된 물품을 포함). 다음의 사항을 특기사항 란에 적습니다. "The provisions of Appendix 4 to Annex I (Exemptions from the Principle of Territoryality ) have been applied." -부속서 I의 부록 4(영역원친의 예외)의 규정이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