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수출경영연구원(주)소개/공지사항

무역2조달러 시대, 현명한 FTA활용을 통해 도약

by ESGEXPORT 2011. 12. 27.

<지식경제부 11년 12월 22일(목) 보도자료>

지식경제부는 1222일 제108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FTA를 활용한 무역확대방안을 발표하였음

  FTA 체결 확대로 우리나라의 전체교역 중 체결국과의 교역비중이 1/3을 상회하고 있으며, FTA는 우리 기업들에게 새로운 시장과 경쟁국에 비해 유리한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

  FTA 체결 확대를 통한 우리의 경제영토 확장도 중요하지만, 체결된 FTA를 현명하게 활용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함

  내년부터 한, EU FTA가 본격 발효되는 가운데, 세계 경제여건 전망이 밝지 않은 상황에서 난국을 헤쳐 나가기 위한 수단으로 FTA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임

  현실적으로 FTA 활용이 활발하지 않은데, 그 이유로는

  우선 중소기업의 FTA 관련 정보획득이해능력과 적용관리능력이 부족하며,

  지원기관별로 일반적인 정보를 중복 제공하는 반면, 전문인력 부족으로 기업이 원하는 고도화차별화된 지원은 미흡하기 때문임

FTA를 활용한 무역 확대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기업중심형 민관 합동FTA 무역종합지원센터신설 

- 관계부처유관기관의 파견인력 및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센터를 기업의 이용편의를 위해 무역협회에 설치 

- 지원기관별 정보를 통합제공하고, FTA 활용단계별 필요지원을 기업맞춤형 패키지로 제공하며, 지역FTA활용지원센터(16개소) 종합지원센터와 연계운영하여 전국적인 지원망 구축

  중소기업의 FTA에 대한 관심과 이해 제고

  - FTA 무역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중소기업 및 현장 중심의 설명회를 개최하고, 주요 대학에 FTA 강좌개설 지(‘124억원) 및 관세사원산지관리사 등 전문자격사 양성 확대

  중소기업의 FTA 활용역량 강화

  - One-click으로 상대국의 품목별 관세율, 원산지기준, 기술규제, 환경규제 등 수출관련 정보를 일괄 제공하는 통합무역정보시스템확대 (‘12EU 미국 등 확대)

- 중소기업 FTA 활용 컨설팅을 확대하고 원산지관리시스템(FTA-Korea, FTA-Pass) 개발보급 및 원산지 사후검증 대응 전담팀을 설치(종합지원센터 내)

  수혜업종 중심의 FTA 활용성과 도출

  (단기) 종합지원센터 중심의 해외마케팅 적극 지원 

- 자동차 : 글로벌 전시회 참가 등 적극적 마케팅을 통한 완성차업체 공급망 개척 지원

- 섬유 : 글로벌 Top 전시회 참가지원, 원산지 관리를 위한 섬유생산자 정보시스템구축

- 생활소비재 : 월마트, 테스코 등과 소싱상담회, 한국상품 특별전 개최 등을 통한 현지유통망 개척

- 정부조달 : 주요지역 조달지원센터(Kotra 무역관 내)를 통해 미국EU 조달시장 진출 추진 

(장기) 선진경제권과 협력하여 High-tech 수출유망분야 (반도체장비, 항공우주 부품소재, 바이오 등) 발굴육성, 유망품목과 기업을 선정하여 유관기관 연계지원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수출 전략품목 발굴육성 

- (농식품) 소득연계효과가 큰 파프리카, 막걸리, 김 등 25개 품목을 선정, 수출촉진대책 마련 

- (문화콘텐츠) 시장접근혜택 활용을 위한 공동제작 지원, 글로벌 펀드 조성(‘12년 약 1천억원 추가조성)으로 해외진출 지원 

FTA 환경을 활용한 외국인투자유치 강화 

- EU 첨단산업과 서비스기업이 아시아진출 거점으로 삼도록 특정산업별 전략적 IR 강화 

- 화교자본 유치를 위한 China desk 추가설치, 일본 부품소재기업 투자유치 IR 개최 

- 해외진출 우리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을 위한 조세감면, 입지지원 및 국내정착 지원용 콜 서비스 설치

  한편, 회의에 참석한 중소중견기업 대표들은 한-, -EU FTA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표현하는 동시에, 교육, 컨설팅 등 중소기업 지원과 유망품목 발굴육성을 위한 R&D도 확대해 줄 필요가 있다고 건의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