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동향, 보고서17

2011년 주요국 FTA 추진 동향과 시사점-국제무역연구원 국제무역원에서 발표한 최근자료입니다. 18개 경제권 64개국의 FTA 추진 동향을 분석한 결과가 상세하게 나와있는 자료 공유합니다. Ⅰ. 세계 FTA 추진 개황 ···················································· 1 Ⅱ. 주요국별 FTA 추진 동향 ············································· 4 Ⅲ. 향후 주요국 FTA 추진 전망 ·······································67 Ⅳ. 결론 및 시사점 ·······························································71 2011. 9. 15.
한-EU FTA발효후 EU산 소비재 가격동향 한·EU FTA가 7월 1일 발효된 지 1개월이 경과되었다. EU와의 FTA는 5억명의 인구,GDP 16조 4천억 달러(2009)의 거대시장 선점이라는 수출측면에서의 중요성 뿐만아니라, 수입소비재의 가격인하에 따른 소비자후생증대와 물가안정이라는 수입측면에서의 효과도 기대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소비재 수입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1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도 FTA 활용을 통한가격인하가 발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응답업체의 91.6%는 대EU 수입 시 FTA를 활용(47%) 또는 향후활용(44.6%)할 것이라고 답했고,실제로 가격인하(전망 포함)하겠다는 업체의 도소매 가격인하율은 각각 6.3%와 6.4%로 나타났다. 2011. 8. 24.
한-페루 FTA발효와 수출확대 수혜품목 8월 1일부로 한.페루 FTA가 발효된다. 페루와의 교역이 우리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젓이 작아 EU, 미국 등 거대경제권과의 FTA만큼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겠지만, FTA 효과 면에서는 상당한 기대를 갖게 한다. 이는 페루의 빠른 경제 성장과 높은 관세율 때문이다. 페루는 유망한 신흥시장이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실질 기준)이 7.2%에 달해 젓남미 주요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빠른 경제 성장에 걸맞게 수입 시장도 연간 19.1%씩 성장하고 있고,우리의 對페루 수출도 연간 27.3%의 증가율을 보이며 큰 폭으로 늘어 나고 있다. 외국인 투자 유입도 연간 23.5%씩 늘어나고 있고 우리 기업의 투자도 활발하여 남미 국가 가운데 브라질에 이어 2대 투자국으로 부상했다. 2011. 8. 1.
한국기업의 영국진출 활용보고서 영국의 무역투자청(UKIT, UK Trade & Investment)에서 한EU FTA 발효 계기 우리 기업의 영국 진출 활용을 위한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FTA시대에 영국진출을 고려중인 기업을 위한 알찬 내용인 듯 합니다. 첨부파일 확인하세요^^ 관련 보도자료 1. 빈스 케이블 英 산업경제부 장관, 영국 기업들에게 한국 시장의 무한한 기회에 주목할 것을 촉구 http://ukinrok.fco.gov.uk/ko/news/?view=PressR&id=602125682 2. 한-EU FTA 시대, 한국 기업의 영국 진출 활용 보고서발간 발표 http://ukinrok.fco.gov.uk/ko/news/?view=PressR&id=602727682 2011.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