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FTA가 7월 1일 발효된 지 1개월이 경과되었다. EU와의 FTA는 5억명의 인구,GDP 16조 4천억 달러(2009)의 거대시장 선점이라는 수출측면에서의 중요성 뿐만아니라, 수입소비재의 가격인하에 따른 소비자후생증대와 물가안정이라는 수입측면에서의 효과도 기대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소비재 수입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1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도 FTA 활용을 통한가격인하가 발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응답업체의 91.6%는 대EU 수입 시 FTA를 활용(47%) 또는 향후활용(44.6%)할 것이라고 답했고,실제로 가격인하(전망 포함)하겠다는 업체의 도소매 가격인하율은 각각 6.3%와 6.4%로 나타났다.
<참고자료, 국제무역연구원>
'시장동향, 보고서 > 시장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남미지역 수출유망품목 및 진출방안 (0) | 2012.09.13 |
---|---|
2011년 주요국 FTA 추진 동향과 시사점-국제무역연구원 (0) | 2011.09.15 |
한-페루 FTA발효와 수출확대 수혜품목 (0) | 2011.08.01 |
한국기업의 영국진출 활용보고서 (0) | 2011.07.06 |
(무역협회) 한EU FTA 발효로 이런 상품이 뜬다 (0) | 201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