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개요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산업기술혁신사업의 사업별 지원계획입니다.
☞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 등 지원
☞ 주관기관 형태가 중소ㆍ중견기업 단독인 경우 연도별 사업비의 75% 이하 지원
사업별 지원규모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세부 사업별 공고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지원분야 및 대상
- 지원분야 대상
- ㅇ 사업별 특성에 따라 신청자격이 다르므로 ‘4. 사업별 지원계획’, ‘2014년도 산업기술
혁신사업 안내 책자’ 및 개별 사업 공고 참고
- ㅇ 사업별 특성에 따라 신청자격이 다르므로 ‘4. 사업별 지원계획’, ‘2014년도 산업기술
- 지원제외 대상
- ㅇ 신청된 기술개발계획 내용이 기 지원된 과제와 비교하여 판단요소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경우
ㅇ 사업에 참여하는 자(주관기관, 참여기관, 총괄책임자 등)가 접수마감일 현재 동 사업 의무
사항(각종 보고서 제출, 기술료 납부, 기술료 납부계획서 제출, 정산금 또는 환수금 납부
등)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ㅇ 사업에 참여하는 자(주관기관, 참여기관, 주관기관의 장, 참여기관의 장, 총괄책임자 등)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ㅇ 사업에 참여하는 자(주관기관, 참여기관, 주관기관의 장, 참여기관의 장, 총괄책임자 등)가
채무 불이행중인 경우
※ 기타 사업별 공고 참조
- ㅇ 신청된 기술개발계획 내용이 기 지원된 과제와 비교하여 판단요소가 동일하거나 거의
지원조건 및 내용
- 신청기간
- 사업별 추후공고
- 지원조건 내용
- ㅇ 지원규모
- 사업별 지원규모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세부 사업별 공고시 참조 요망
ㅇ 출연금 지원기준
- 아래의 기준에 따라 출연금을 차등 지원할 수 있음. 다만, 전략기획단 소관 사업 또는
그 밖에 사업이라도 사업별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원비율을 달리 정할 수 있음
ㆍ 주관기관 형태가 중소ㆍ중견기업 단독인 경우 : 연도별 사업비의 75.0% 이하
ㆍ 중소ㆍ중견기업이 주관기관이 아닌 경우 또는 주관기관 형태가 복수일 때 그 중
일부만 중소ㆍ중견기업인 경우 아래표를 따름
1) ‘참여기업’이란 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의 형태로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을 말하며,참여기업 수
참여기업1) 유형 및 구성
정부출연금 지원 비율
1개
중소기업2) 또는 중견기업3)
연도별 사업비의 75.0% 이하
대기업4)
연도별 사업비의 50.0% 이하
2개 이상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2/3 이상
연도별 사업비의 75.0% 이하
그 밖의 경우
연도별 사업비의 50.0% 이하
사업의 결과를 실시하거나 활용하기 위해 사업비의 일부를 부담하고 사업에 참여
2) ‘중소기업’이란「중소기업기본법」제2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중소기업
범위)에 따른 기업임
3) ‘중견기업’이란 「산업발전법」 제10조의2 제1항의 요건을 모두 갖춘 기업임
4) ‘대기업’이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제1항에 따른 상호출자
제한기업 집단에 속하는 기업임
- 여러 개의 세부과제가 하나의 과제를 구성하는 경우, 세부과제 단위로 출연금 지원기준을
적용
- 정부출연금 중 대기업으로 지원되는 금액은 해당 대기업 연도별 사업비의 50% 이하로 함
※ 사업별 특성에 따라 민간부담현금의 부담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개별 사업 공고를
참조
ㅇ 민간부담 현금 비율 조건
- 수행기관은 사업비 일부를 출연금으로 지원 받을 경우 민간부담금 중 현금부담 비율은
아래 기준을 따름. 다만, 전략기획단 소관 사업 또는 그 밖에 사업이라도 사업별 심의
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원비율을 달리 정할 수 있음
ㆍ 주관기관 형태가 중소ㆍ중견기업 단독인 경우 : 연도별 민간부담금의 10.0% 이상
ㆍ 중소ㆍ중견기업이 주관기관이 아닌 경우 또는 주관기관 형태가 복수일 때 그 중
일부만 중소ㆍ중견기업인 경우 아래 표를 따름
- 위 기준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의 현금부담비율은 연도별 민간부담금의 20% 이상으로 함참여기업 수
참여기업 유형 및 구성
민간부담금 중 현금부담비율
1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연도별 민간부담금의 10.0% 이상
대기업
연도별 민간부담금의 20.0% 이상
2개 이상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2/3 이상
연도별 민간부담금의 10.0% 이상
그 밖의 경우
연도별 민간부담금의 20.0% 이상
※ 사업별 특성에 따라 민간부담현금의 부담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개별 사업 공고를
참조
ㅇ 과제 주관 기준과제 유형
내 용
고위험형
미래기술개발 또는 글로벌 시장 창출을 위해
대규모 자금 투입이 필요하며 리스크가 큰 과제시스템형
대기업은 전체 시스템을 설계하고 중소ㆍ중견기업 등은
요소기술을 통합ㆍ개발하는 과제수요연계형
대기업이 중소ㆍ중견기업 등 타 주체와 연계하여
개발기술의 수요처 또는 소재 공급처로서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과제
ㅇ 기술료
- ‘기술료 징수 및 사용ㆍ관리에 관한 통합요령’을 따르되 기술료율, 기술료 징수 여부
및 방식에 대해서 사업별 공고시 별도 안내
ㅇ 디자인과 산업기술혁신사업의 연계
- 다음 사업은 협약체결 전까지 전담기관이 과제별로 디자인 연계내용 및 참여비율을
산정할 수 있으며, 디자인 연계범위(내용 및 비율)에 따라 디자인전문회사 등 전문기관의
참여를 권고할 수 있음
ㆍ 산업융합핵심기술개발사업(지식서비스, 바이오의료기기, 로봇, 산업융합, 그린카 등
수송시스템, 산업소재)
ㆍ 글로벌 전문기술개발사업(우수기술연구센터, 섬유스트림, 해양레저장비, 개인용
이동수단, 신산업기술개발)
ㆍ 시스템반도체상용화기술개발
ㆍ LED시스템조명기술개발
ㆍ 지능형자동차 상용화 연구기반구축
ㆍ 국민편익증진기술개발
ㆍ 핵심의료기기제품화 및 인증평가기술개발
ㆍ 신성장동력장비경쟁력강화
ㆍ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
- ㅇ 지원규모
지원절차
신청 및 접수 | → | 선정평가 | → | 결과통보 |
신청방법 및 서류
- 신청방법
ㅇ 사업별 공고 내용의 신청방법에 따라 신청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담당부서 | 사업담당부서 |
---|---|---|---|
전화번호 | 하단의 문의처 참조 | 홈페이지 URL | http://www.keit.re.kr |
담당자명 | 사업담당자 | 담당자 전화 | 하단의 문의처 참조 |
담당자 FAX | 담당자 이메일 |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담당부서 | 사업담당부서 |
---|---|---|---|
전화번호 | 하단의 문의처 참조 | 홈페이지 URL | http://www.keit.re.kr |
담당자명 | 사업담당자 | 담당자 전화 | 하단의 문의처 참조 |
담당자 FAX | 담당자 이메일 |
기타사항
- 문의처
사 업 명
산업통상자원부
전담기관
산업핵심
기술개발사업
(신산업,
주력산업 분야)
신산업
창의산업정책과
044-203-436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217
주력산업
기계로봇과
044-203-4313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부품소재총괄과
044-203-4262~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370~3,8, 8395~6,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
(주력 및 신산업)산업기술개발과
044-203-4522,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215
신성장동력장비경쟁력강화사업
기계로봇과
044-203-431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1-0783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
자동차항공과
044-203-432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1-0773
지능형자동차
상용화연구기반구축사업자동차항공과
044-203-432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1-0747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사업
섬유세라믹과
044-209-429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396
디자인기업역량강화사업
디자인생활산업과
044-203-437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7389, 7391
국민편익증진기술개발사업
산업기술정책과
044-203-4515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0-7375
핵심의료기기 제품화
및 인증평가기술 개발전자전기과
044-203-434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32
산업융합촉진사업
산업정책과
044-203-4209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0-7364, 7369
그래핀소재부품상용화기술개발사업
바이오나노과
044-203-439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0-7367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
산업기술개발과
044-203-452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0-8213
나노융합2020사업
바이오나노과
044-203-4393
나노융합2020사업단
02-6000-7492, 7494, 7496
산업기술표준화
및 인증지원
국가표준
기술력향상국제표준과
02-509-740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261
국제상호
인정시험평가능력
기반구축인증산업진흥과
02-509-7289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262
제품안전기술
기반조성
제품안전정책과
02-509-723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263
국가참조표준
데이터개발
계량측정제도과
02-509-723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263
품질혁신
기반구축시험인증정책과
02-509-7285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264
국가표준
코디네이터
국제표준과
02-509-7399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09-8265
녹색산업 선도형
이차전지 기술개발사업전자전기과
044-203-434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34
LED 시스템 조명 기술개발사업
전자전기과
044-203-434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33
시스템반도체상용화개발사업
전자부품과
044-203-4275, 427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15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R&BD)
산업기술시장과
044-203-453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4342, 4345, 4346
소재부품기술기반혁신사업
소재부품정책과
044-203-4265, 426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923,3926,3928,3944
감성터치플랫폼개발
및 신산업화지원사업전자부품과
044-203-427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3
전자의료기기
부품소재산업화기반구축전자전기과
044-203-4347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3
첨단메디컬신소재(섬유)개발사업
섬유세라믹과
044-203-429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6
탄소밸리구축사업
섬유세라믹과
044-203-429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6
그린전기자동차차량부품개발
및 연구기반구축사업자동차항공과
044-203-432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8
클린디젤자동차
핵심부품산업육성사업자동차항공과
044-203-432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8
수출전략형미래그린상용차
부품기술개발사업자동차항공과
044-203-432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8
로봇산업클러스터조성사업
기계로봇과
044-203-4316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3
초광역연계3D융합산업육성
전자전기과
044-203-4346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3
차세대건설기계부품
특화단지조성사업기계로봇과
044-203-4313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3
동물약품허브조성사업
바이오나노과
044-203-439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1
차부품고급브랜드화연구개발사업
자동차항공과
044-203-432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8
메디칼몰드R&BD구축
전자전기과
044-203-4347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3
덴탈소재및치과기공기술개발
전자전기과
044-203-4347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3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R&D)
지역산업과
044-203-442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23, 3731
생산현장종합지원사업
산업기술기반팀
044-203-4505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38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인력지원사업산업기술기반팀
044-203-450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38
산업핵심
기술개발사업
(에너지 분야)
에너지자원
에너지기술과
044-203-4541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73, 8377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과
044-203-5165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75, 8379
전력
전력진흥과
044-203-5270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72
원자력
원전산업정책과
044-203-5323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85
자원개발기술개발사업
자원개발전략과
044-203-5147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89
방사성폐기물관리기술개발사업
원전환경과
044-203-5345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72
글로벌
전문기술
개발사업(에너지ㆍ
자원순환/녹색기술개발지원)
에너지ㆍ
자원순환기후변화
산업환경과044-203-4245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24
녹색기술
개발지원
에너지기술과
044-203-4541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
(신재생ㆍ전력ㆍ원자력)
에너지기술과
044-203-4541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36, 8445
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
에너지기술과
044-203-4543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43~7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에너지기술과
044-203-4544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61~4
에너지정보화및정책지원사업
(에특)에너지기술과
044-203-4542, 4545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12
에너지자원순환기반조성사업
기후변화산업환경과
044-203-4245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12
에너지정보화 및 정책지원사업
(전력)-신재생신재생에너지과
044-203-5165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031-260-4812, 4819
에너지정보화 및 정책지원사업
(전력)-전력기술기반구축전력진흥과
044-203-5165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02-6007-0362
에너지표준화 및 인증지원
신재생에너지과
044-203-5172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신재생에너지육성실
02-6007-0364
전력진흥과
044-203-5265, 5270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인프라사업팀
02-6007-0364
원전산업정책과
044-203-5323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기획총괄실
02-3469-8374
에너지연구기반구축사업
(전력기금)전력진흥과
044-203-5270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02-6007-0363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
기계로봇과
044-203-4313, 4319
민군기술협력진흥센터
042-821-3082, 2866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바이오나노과
044-203-4392
(재)범부처기신약개발사업단
02-361-3606
전자정보
디바이스산업핵심기술
개발사업반도체
전자부품과
044-203-4275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15
디스플레이
전자부품과
044-403-427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13
LED/광
전기전자과
044-203-4348, 434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33
SW·컴퓨팅(임베디드SW)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전자부품과
044-203-427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12
정보통신미디어(홈/정보가전)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전자전기과
044-203-4345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15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
(정보통신)전자부품과
044-203-427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5-2215
- 기타사항
- ㅇ 통합 시행계획 설명회
- 개최 일시 및 장소지역
일시
장소
문의처
서울
‘14. 1. 24(금) 14:00~19:00
숭실대학교
(한경직기념관)
1544-6633
(KEIT R&D 콜센터)
대전
‘14. 2. 7(금) 14:00~19:00
KAIST
(대강당)
1544-6633
(KEIT R&D 콜센터)
※ 자세한 내용은 산업기술R&D종합정보시스템(http://www.ernd.go.kr) → 알림마당 →
사업공고를 참조(☞ 바로가기)
- ㅇ 통합 시행계획 설명회
'정부지원사업공고 > 기술개발지원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공고 (0) | 2014.01.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