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자상거래가 온라인 검색기술 및 개인간 국제 결제 수단(Paypal)의 발달로 수입업체를 통하지 않고,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수출하는 Cross-Border e-Commerce형태로 진화하고 있음. Cross-Border e-Commerce는 기존 바이어 중심의 B2B 무역을 대체하진 않더라도 향후 새로운 수출 방식의 보완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최근 전자상거래가 온라인 검색기술 및 개인간 국제 결제 수단(Paypal)의 발달로 바이어 구매과정을 생략하고,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수출하는 Cross-Border e-Commerce형태로 진화
□ Cross-Border e-Commerce는 기존 바이어 중심의 B2B 무역을 대체하진 않더라도 향후 새로운 수출 방식의 보완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Cross-Border e-Commerce를 활용하는 미국과 유럽의 기업들은 이미 해외 소비자들로부터 상당한 수익을 거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외국어 제품 정보, 최종 목적지까지의 최종 비용 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Cross-Border 전자상거래 규모는 전 세계 전자상거래의 약 14%(약 440억 달러)로 추산되고 있으며,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시장인 미국과 EU의 경우 전자상거래의 각각 7.1%, 10.6%가 국가간 거래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Cross-Border e-Commerce를 새로운 실크로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중국 소비자로의 직접 수출 강화 ▲해외 소비자의 구매 편의성을 높이는 서비스 확대 ▲저렴하거나 특이한 Must-Have 아이템 개발 ▲정부의 온라인 수출신고의 간소화 및 인센티브 부여 등이 필요
출처: 국제무역연구원
첨부:
'시장동향, 보고서 > 시장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의 핀란드 창업 생태계 변화와 시사점 (0) | 2013.05.21 |
---|---|
아시아 ․ 대양주 지역 수출유망품목 및 진출방안 (0) | 2012.09.13 |
중동지역 수출 유망품목 및 진출방안 (0) | 2012.09.13 |
북미지역 수출 유망품목 및 진출방안 (0) | 2012.09.13 |
중남미지역 수출유망품목 및 진출방안 (0) | 2012.09.13 |